부안청자박물관에서 길 건너에 있는 사업대상지 폐요업공장. 벽돌공장이었던 이곳은 수년 전부터 운영되지 않고 소유주만 두차례 바뀌었다.     사진 / 김정민 기자
부안청자박물관에서 길 건너에 있는 사업대상지 폐요업공장. 벽돌공장이었던 이곳은 수년 전부터 운영되지 않고 소유주만 두차례 바뀌었다. 사진 / 김정민 기자

부안고려청자 전통기술 복원과

체계적인 생산, 마케팅을 통해

부안의 대표적인 관광상품으로

발돋움하기 위한 거점 조성사업

 

지난해 8월 도 심사서 고배 마셨지만

사업 여건 보완해 두 번째 심사는 통과

 

중요한 자산인 청자와 전통기술을

복원하는 목적은 높이 평가받지만

 

사업대상지 실 소유주가 최근 불거진

구)장수사우나 소유주와 동일인이어서

토지매입 둘러싼 의혹 다시 불거져

투명한 추진을 위한 장치 마련 필요해

 부안의 중요한 문화 자산인 부안고려상감청자의 가치를 알리고, 지역을 대표하는 관광상품으로 만들기 위한 거점 공간으로 조성하는 청자밸리 사업이 하나의 큰 고개를 넘어 사업이 급물살을 타는 분위기다. 

청자밸리 사업은 지역 주민들의 염원을 바탕으로 오랜 준비기간을 가졌고, 지역의 관광과 경제활성화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를 모은 사업이기도 하다.

그러나 사업대상지의 소유주가 지난해부터 불거진 부안읍 터미널 주차장 조성사업의 대상지 소유주와 같아 부안군이 추진하는 대규모 사업의 토지매입을 둘러싼 의혹도 함께 커지고 있다.

청자밸리 사업은 고려청자문화의 중심지인 부안군의 청자 제작 기술을 복원하고 컨텐츠와 상품 개발을 통해 문화관광 자원화 및 지역경제 활성화를 꾀하는 것이 목표다.

청자박물관 건너편 폐요업공장을 매입해 고려청자를 비롯한 한국 고유의 전통기술을 살린 도자기 제작, 전시 및 판매, 체험, 교육, 연구 등이 가능한 복합 문화예술공간을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대상지는 보안면 유천리 795-1번지로 구)유천요업 공장과 일대 대지 2만8257㎡다. 리모델링 대상인 공장 건물 연면적은 5000㎡다. 사업 예산은 총 193억 원이며 재원 마련은 문화체육관광부의 폐요업 유휴시설 재생사업과 같은 공모사업을 노려 확보하겠다는 계획이다.

청자 제작의 전 과정을 눈으로 보고 체험하며, 체계화된 생산 시스템 아래 개발 판매될 청자 제품들을 보고 살 수 있는 공간으로 기획되는 청자밸리 사업은 2022년부터 본격적으로 세간에 알려졌다.

이 사업의 핵심 내용인 폐요업 공장을 허물지 않고, 뼈대와 내부 생산시설을 살려 도자기 생산시설을 접목해 재생 사업의 효과를 거두려는 계획은 긍정적으로 평가된다. 또 요업을 상징하는 높은 굴뚝을 활용해 도자기 관광랜드마크로 활용한다는 계획도 눈에 띈다.

부안군은 청자밸리 사업 내용을 가다듬어 지난해 8월 전북도 지방재정투자심사를 받았다. 총사업비가 194억 원에 이르는 대규모 사업이기에 지방재정투자심사 과정은 쉽지 않았다. 부안군은 첫 도 지방재정투자심사에서 ‘재검토’로 결정이 나 고배를 마셔야 했다. 첫 심사 당시 사업을 위한 국비 확보방안 구체화, 사업 여건의 성숙도 강화 등을 지적받았다.

이후 부안군은 2024년 들어 처음 이뤄지는 전라북도 제1차 지방재정투자심사에 청자밸리 사업을 다시 제출했고, 접수된 사업 중 3곳에만 이뤄진 현장심사까지 거치며 투자심사에서 ‘조건부 승인’을 받았다. 아직 관련 공문이 내려오지 않아 조건부에 어떤 부분들을 요구할지는 더 기다려봐야 한다.

해당 사업은 2022년부터 본격적으로 대외적으로 알려졌지만, 그 이전인 2019년부터 사업 필요성을 느낀 지역을 기반으로 둔 의원들이 강력하게 추진을 촉구했던 사업이기도 했다. 부안군의회에서도 이태근 의원, 김연식 의원 등 제8대 의회에서 활동하던 의원들이 부안청자 산업화 방안 마련을 촉구했으며, 제9대 의회 박태수, 이현기 의원도 지역구인 만큼 주민들의 의견에 힘입어 같은 주장을 해왔다.

사업대상지는 부안청자박물관에서 도로를 사이에 두고 맞은편에 있는 폐요업 공장부지다. 부안군이 대상지를 이곳으로 선정한 이유는 부안청자박물과의 인접한 토지라는 점 외에도 일대가 모두 문화재보존구역으로 묶여 있어 건축이나 개발행위가 엄격히 금지된 데 반해 사업대상지는 기존 공장부지로 상업과 영업, 건축 등이 자유로운 곳이라는 이점이 있다.

대상지 내 최근 새로 심어진 나무들. 토지 매각에 앞서 보상금을 노린 행위라는 지적이 나온다.
대상지 내 최근 새로 심어진 나무들. 토지 매각에 앞서 보상금을 노린 행위라는 지적이 나온다.

문제는 이 대상부지의 소유주가 터미널 주차장 문제로 인해 토지매입 과정에서 여러 가지 의혹을 낳았던 터미널 주차장 부지인 구)장수사우나의 소유주와 같은 이라는 점이다. 등기상 소유주는 A씨의 친인척으로 돼 있지만, 실소유주가 A씨라는 것은 부안군 관련부서에서도 인정하는 사실이다.

토지 등기 내용으로 보면 A씨는 2021년 이전 소유주로부터 공장건물과 부지를 모두 사들였다. 청자밸리 사업에 대한 부안군의 의지나 지역에서의 요구가 계속된 사업이었던 만큼 일각에선 추후 매각을 염두에 둔 부동산 투기의 목적이 있지 않았냐는 의혹을 제기하고 있다.

또 벽돌공장이었던 공장부지에서 벽돌을 적재하고, 실어 나르던 공간에 소나무 등 각종 나무를 급히 심은 것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는 보상가를 높이기 위한 일련의 행위로도 풀이된다.

9000여 평에 이르는 토지와 1500여 평에 이르는 건물 규모를 고려하더라도 건물과 함께 매입에만 최소 33억여 원이 들 것으로 추산된다. 이미 부안군이 수십억 원을 들여 땅을 사며 특혜를 안겨준 소유주에게 재차 수십억 원의 부동산을 사들이는 상황이 곱게 보여지긴 어렵다는 시선도 있다.

따라서 사업의 필요성과 성공 가능성을 강화하는 한편 최근 부안군의 공유자산 매입 과정에서 불거졌던 것과 같은 의혹이 계속되지 않을 방안을 마련하는 등 부안군의 노력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저작권자 © 부안독립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