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화도.
이 이름만 생각하면 가슴 한편이 아려온다. 정부가 밀어붙인 두 번의 간척사업으로 주민들의 삶은 점점 피폐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박정희 정권은 1960년대 섬진강 댐 건설 지역 수몰민 2768세대를 이주시키기 위해 계화도 앞 바다를 매립하는 간척공사를 강행했다. 그러면서 정부는 계화 주민들의 삶의 터전인 바다를 강탈했으면서도 땅 한 평도 내 주지 않았다. 주민들은 철저하게 배제시키고, 매립해 조성한 논은 이주민들에만 분배됐다.
총칼만 겨누지 않았지 강력한 권력을 앞세워 주민들의 삶의 터전을 강탈한 것이다.
1991년도에 시작된 새만금 개발사업은 또 어떤가. 맨손어업을 생업을 하는 주민들에게 피해 보상금이라고 내놓은 건 고작해야 300~1000만원 내외다. 당시만 해도 주민들은 하루 4~5시간만 바다에서 조개를 캐면 5~10만원은 너끈히 손에 쥘 수 있었는데, 지금은 파스와 진통제로 하루하루를 버티며 타 지역까지 새벽 밭일을 다니며 고단한 삶을 살고 있다.
당시 정부는 주민들로부터 동의를 받아내기 위해 논을 준다는 등의 거짓말로 꾀었다는 어르신들의 증언도 있다. 정부는 목적달성을 위해 계화 주민들을 상대로 사기를 친 것이다.
한 번의 강탈과 또 한 번은 사기극으로 정부는 계화 주민들을 나락으로 떨어뜨렸다.
또 1960년대 농로로 조성된 지금의 간재로(대창삼거리~계화삼거리)는 살인도로로 불리며 계화 주민들의 안전을 위협하고 있다. 
지금은 군도로 되어 있지만 여전히 도로 폭은 1960년대 농로였을 당시 넓이인 5미터 남짓에 불과하다. 그 이후 아스팔트 포장한 것 이외에는 뚜렷하게 달라진 것이 없다.
도로 폭은 좁고 직선도로이다 보니 이곳에서는 크고 작은 교통사고가 끊이질 않고 있다. 교통사고로 목숨을 잃은 주민도 한 둘이 아니다.
지난 10월 13일에도 이 도로에서 한 사람이 목숨을 잃었다. 농로에서 나오는 오토바이와 도로를 달리던 차량이 충돌해 오토바이 운전자가 사망했다. 차량 운전자가 계화주민이어서 그런지 도로 폭이 넓었다면 어땠을까하는 아쉬움이 오랫동안 머릿속을 맴돌았다. 이 도로는 직선도로여서 과속은 일상이다.
특히 농번기 때면 오토바이나 농기계들의 도로 이용률이 높아 사고 위험이 더욱 크다. 대형트럭들도 수시로 이 도로를 질주하며 운전자들에게 위압감을 주고 있다. 언제 움직이는 흉기로 돌변해 주민들의 목숨을 앗아갈지 모르는 상황이다.
주민들의 안전을 위협하는 것은 이뿐만 아니다. 길고양이, 족제비, 고라니 등 야생동물들이 갑자기 차도로 뛰어들어 운전자들의 간담을 서늘하게 하는 일도 다반사다.
인근 논에 지어진 축사에서 나오는 악취는 불쾌감을 주고, 여름철이면 하루살이 때가 구름처럼 차량으로 달려들어 운전자의 시야를 가리고 차에 덕지덕지 달라붙는다.
이처럼 계화 주민들은 위험하고 불편한 도로 환경 속에서 불안과 불쾌감을 느끼며 생계를 위해 매일같이 이 살인도로를 달리고 있다.
조용한 섬마을에서 고기를 잡고 조개를 캐며 부족함 없이 행복을 누렸던 계화 주민들을 누가 불행으로 몰아넣었나. 바로 정부다. 과거 정부에서 벌인 일이지만 연장선상에 있는 현 정부가 책임져야 한다. 힘겨운 삶을 살게 한 것도 모자라 살인도로를 이용하게 해서는 안 된다. 두 번이나 계화 주민들을 고통으로 몰아넣고 모른 채 하는 것은 파렴치범이나 하는 짓이다. 정부는 군도 14호선인 이도로 확포장 공사를 조속히 시행해 살인도로부터 계화주민들의 안전을 보장해야 한다.
부안군의 재정 상태로는 수백억이 넘게 투입될지 모르는 이 공사를 감당하기에는 불가능에 가깝다. 국도비를 지원받아 도로 확포장 공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군도인 이곳을 ‘지방도’로 승격해야 한다. 
국책사업으로 두 번이나 삶의 터전을 강탈당하면서도 보상조차 제대로 못 받은 계화 주민들을 위해, 간재로를 4차선으로 확포장 해야 하는 것은 정부가 해줘야 할 최소한의 양심이다.

저작권자 © 부안독립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