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국에서

부안군이 문화체육관광부가 시범적으로 추진하는 ‘관광두레만들기’대상으로 선정되면서 관광두레사업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정부와 부안군이 제시한 청사진에 따르면, 관광두레사업은 지금까지의 관광개발사업과는 많은 차이점을 보일 것으로 기대된다.
사실 기존의 관광사업들은 시설조성에 지나치게 치중했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시설을 건립한 뒤에는 사후 운영이 부실해 지역주민에게 돌아가는 혜택과 지역경제의 파급효과를 담보하기가 어려웠다.
예산만 낭비했다는 지적이 쏟아지면서 지역주민이 주도적으로 참여하는 주민주도형 지역관광사업과는 더욱 거리가 멀었다.
그러나 관광두레조성사업은 기존 관광개발사업이 남긴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지역자산을 활용한 관광산업이라는 점에서는 같지만 기존산업과 관광의 융복합을 통한 창조경제를 이끌어 낼 수 있다는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다른 지역에 비해 풍부한 지역관광자원과의 연계도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
부안의 특수성이 반영돼 해안형으로 선정된 만큼, 격포 채석강과 6개 해수욕장, 변산마실길, 위도뱃길 등 바다의 자원과 내소사와 곰소만, 청자박물관, 석정문학관, 영상테마파크 등 부안을 대표하는 문화관광자원을 네트워크로 묶는다면 문화관광적 가치와 경제적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관광두레조성사업의 가장 큰 가치는 공동체의식의 회복에 있다.
공동체의식의 회복은 앞서 말한 융복합형 지역관광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 창조경제 견인의 전제이자 생산물임을 강조하지 않을 수 없다.
그 대표적인 사례를 우리는 스위스 ‘오솔길 프로젝트’에서 찾을 수 있다.
스위스 오솔길 프로젝트는 현장밀착형 멘토링을 통해 지역특화모델을 만든 대표적인 경우다.
문화유적지와 생태탐방로, 자전거길, 전통숙박시설, 먹거리촌에 통일적인 관광브랜드를 부여하여 지역성과 연계성을 강화하고 지역축제와도 연계해 역사체험, 하이킹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창출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가치와 효과를 이끌어 내기 위해서는 관주도가 아닌, 주민주도의 시스템 확립이 필수적이다.
기획단계에서부터 주민들이 참여하고 실행과 피드백에도 지역주민들이 주체로 나서야 사업성공의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지역주민들이 지역에 대한 진단에서부터 사업모델개발, 홍보, 모니터링 및 성과분석에 적극 참여하고 현장 워크숍 및 교육, 사례견학 등을 통해 관광두레에 대한 인식을 높일때 공동체 역량의 강화라는 관광두레사업의 목적이 실현될 수 있음을 이 사업을 추진하는 정부와 한국문화관광연구원, 한국관광공사, 부안군이 먼저 깨달아야 한다.

 

 

 


 



 

저작권자 © 부안독립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