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근지역인 고창·김제·정읍은 급증, 부안군과 대조적

부안군이 귀농·귀촌 도시임을 자랑하고 있지만 실제로 귀농한 가구수는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라북도로 귀농·귀촌하는 가구수가 증가하고 있지만 부안군의 경우 도내 최하위권에 머무르고 있어 대책마련이 시급하다.
도에 따르면 2012년 6월 기준, 전북으로 귀농·귀촌한 가구수는 1,380(2,920명)가구로 전년(1,247가구) 보다 11% 증가했지만 부안군의 경우 22가구에 머무르고 있어 임실과 장수, 무주등과 최하위권에 머무르고 있다. 더욱이 인근 지역인 고창군이 432가구로 가장 많아 부안군과 대조 대는 모습이다. 고창군에 이어 김제와 남원, 정읍 등이 상위권에 들었다. 전북으로 귀농·귀촌하는 가구수는 2005년에 73가구 내외였으나 2010년 611가구, 지난해 1,247가구로 급증하는 추세이다. 고창군은 2010년부터 올 상반기까지 귀농귀촌이 있는 시군구 151개중 1032가구가 귀농·귀촌하여 전국에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수치는 같은 기간 동안 전체 귀농귀촌 가구 2만3276가구의 4%에 해당한다.
반면 부안군은 지난 2009년 95가구로 정점을 찍은 후 2010년 47가구, 지난해 30가구로 감소하고 있다. 귀농·귀촌을 하는 사람들이 지역에서 활발한 활동이 가능한 59세 이하의 비중이 76.7% 수준으로 볼때 지자체의 귀농인구 증가는 농업 신규인력 유입의 한 축으로 작용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에 초고령화에 접어든 부안군은 귀농·귀촌의 유입이 활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대책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도 관계자는 “농업이 주 수입원인 농촌으로 귀농하는 인구가 증가하고 있는 것은 농촌지역이 고령화 사회로 접어든 시점에서 인력난을 해결함과 동시에 지역에서 활발한 활동이 가능한 이들이 귀농을 하기 때문에 지역경제 활성화에 큰 기여를 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또한 “지자체의 인구감소 문제도 귀농인구로 해결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덧붙였다.
한편 김춘진 의원은 지난 15일 국정감사에서 “귀농귀촌이 농어촌의 새로운 활력으로 자리 잡아 가고 있다며, 연간 30만 명의 베이비붐세대 은퇴, 웰빙형, 치료형 귀농귀촌 등 다양한 욕구에 맞는 맞춤형 귀농귀촌정책이 필요하다"며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역할분담과 내실화가 시급하다"고 밝혔다.
도내 귀농인들은 생산기술이 어렵지 않은 경종(벼, 전작 등 노지작물)분야 비율이 57.9%로 가장 높았으며 원예(채소, 시설과채류 등)와 과수, 축산이 그 뒤를 이었다.
 

저작권자 © 부안독립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