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소 앞에 마련된 신속항원진단 접수 및 검사장 모습                                                사진 / 김종철 기자

바뀐 대응체제, 지역 내 치료 중요한 데
일반관리군 재택치료 상담 의원 많지 않아
부안 전체 병·의원 중 20%도 신청 안 해
고창은 50% 넘게 신청, 부안보다 3배 많아

 

군민, “병·의원 수익만 챙길 게 아니라
자신들이 해야 할 사회적 책임 다 해라”

오미크론 대응체계 변화로 지역 병·의원의 재택치료 수요가 늘고 있지만, 부안군의 경우 5개 병·의원만이 일반관리군 재택치료에 참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웃 동네인 고창군이 총 19개 병·의원을 확보한 데 비하면 초라한 실적으로 부안군 내 병·의원의 부족한 사회적 역할이 도마에 오르고 있다.

게다가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제공하는 2020년 지역별의료이용통계연보에 따르면 부안군의 환자대비 1인당 진료비는 고창군보다 높다. 이는 부안군 병·의원이 고창군 병·의원보다 더 많은 이윤을 챙길 수 있다는 얘기기도 해 지역을 단순히 경제적 대상으로 볼 게 아니라 지역을 위해 자신들이 해야 할 일을 하라는 주문으로 이어지고 있다.

정부는 코로나 19 대응체계 변화에 맞춰 확진자를 집중관리군과 일반관리군으로 분리했다. 모두 재택치료를 기본으로 하고 있으며 이중 일반관리군 재택치료자가 발열 등 증상이 있을 경우 상담과 처방이 가능하도록 지난 10일부터 ‘코로나19 전화 상담 병·의원’을 접수하고 있다. 코로나 19를 독감처럼 지역에 관리하겠다는 것으로 지역마다 치료 병·의원을 확보해 대응하는 것이 핵심이라 참여가 관건이다.

참여을 독려하기 위해선지 정부는 어느 지역에 어떤 병·의원이 가입했는지 쉽게 알 수 있도록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홈페이지를 통해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이곳 자료 등에 따르면 부안군의 경우 재택치료가 가능한 총 31곳 병·의원 중 재택치료를 신청한 곳은 지난 21일 기준 20%에도 못 미치는 5곳에 그쳤다. 해당 병·의원은 ▲부안이비인후과(부안읍 석정로 220 / 581-1001) ▲서울신통의원(부안읍 번영로 138 / 582-8275) ▲엔젤연합소아청소년과의원(부안읍 석정로 233 / 584-1049) ▲진서 한사랑 의원(진서면 곰소2길 4 /582-7534) ▲현대가정의학과(부안읍 부풍로 48-1 / 584-6393) 이다.(가나다 순)

반면 고창군은 총 32개 병·의원 중 대산연합의원을 포함 절반이 넘는 19곳이 등록했다. 부안보다 3배나 많은 결과다. 이같이 재택치료 병·의원이 많다는 것은 치료에 도움이 된다.

1개 병원당 맡아야 할 치료자 수가 적어지기 때문이다. 결국 고창군 확진자가 부안군 확진자보다 선택 폭이 넓고 여유롭게 집중 치료받는 질좋은 의료혜택을 받을 수 있다는 얘기다.

부안군 확진자 현황에 따르면 재택치료기간인 최근 7일간 확진된 군민은 248명이다. 이들이 모두 일반관리군이라면 5곳의 부안군 병·의원은 1곳 당 약 50명의 잠재적 치료자를 가진 셈이다. 같은 조건이라면 고창은 1곳당 13명 꼴이다. 게다가 지금과 같은 확진 추세라면 앞으로 더 많은 환자를 상담해야 한다. 또한, 일반관리군이 집중관리군과 달리 하루 2번 전화 상담이라는 정해진 관리 기준이 없어 확진자의 성향에 따라 상담 치료 시간이 길어질 수 있다. 이는 곧 치료의 질 하락으로 이어질 우려가 있다.

제대로 된 재택치료를 위해서는 고창군과 같이 많은 병·의원이 참여에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는 까닭이고 의료기관의 사회적 역할이 요구되는 이유기도 하다.

채택치료 A 병원 관계자는 “인력문제가 있을 순 있지만, 치료 상담이 가능하다”라며 “전 국민이 힘든 상황이라 의원이 치료에 나서는 게 바람직해 결정했다”고 말했다.

보건소 관계자는 “재택치료 의료기관 신청을 독려하고 있지만, 병·의원마다 사정이 있어 신청 병원이 많지 않다”며 “꾸준히 늘려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정부는 지역 병·의원의 자발적 참여를 위해 지자체 등을 통해 수기로 접수하던 방식을 바꿔 지난 21일부터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보건의료자원통합신고포털(https://www.hurb.or.kr)에서 직접 신청할 수 있게 했다.

읍내 한 군민은 “다수 병·의원이 인력 부족이나 보고체계 등의 이유로 신청을 회피하고 있지만, 비용대비 수익에 큰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게 결정적 이유일 것”이라고 병의원의 이중적 행태를 꼬집었다.

                                    

저작권자 © 부안독립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