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8일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기술원)은 작업 중 발생한 사고로 인한 원자력발전소(원전) 종사자들의 피해 현황에 대해 “모든 자료를 다 공개하고 있다”고 밝혔다. 하지만 기술원이 밝힌 홈페이지상의 관계 자료는 원전 가동 및 운영의 기계 결함에 집중된 것으로 분석됐다.
1999년까지 환경단체들은 방사선에 노출된 관련 종사자들의 신체적 이상과 발병 원인을 규명하기 위해 노력했다. 그 결과 방사선 피폭으로 인한 ‘핵 재앙’의 여파가 사망에까지 이를 수 있다는 사실이 부분적으로 드러났다. 이에 따라 핵 생산기관인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과 규제감독기관인 과학기술부(과기부)의 피폭 사실 은폐가 폭로됐다.
그 뒤 2002년 7월 월성원전과 과기부는 중수 누설에 따른 후속 정비에 동원된 노동자들의 피폭 사고를 축소시키려 해 지탄을 받기도 했다. 2000년대 들어서도 여전히 핵에 대한 불안감이 해소되지 않은 가운데 무엇보다 종사자들의 안전 여부는 자료조차 제대로 공개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녹색연합 관계자는 이에 대해 “한수원으로부터 연구개발비를 지원받고 있기 때문”이라며 기술원의 감독기능의 한계를 지적했다. 이 같은 이유로 우선 ‘핵을 다루는 사람들’에 대한 정확한 정보 공개 필요성은 더욱 요구되고 있다.
지난 2000년 미국 방사선·보건프로젝트(RPHP)는 원전 폐쇄 뒤 인근 지역의 태아 및 유아 사망률이 감소했다는 사실을 보고해 재차 핵의 직접적인 위험성을 시사했다. 한편 한국의 원전 주변지의 주민들 또한 방사능 누출로 인한 직간접적인 피해 사실을 호소해 왔다. 하지만 지난 4일 이희범 산업자원부 장관은 한 토론회에서 영광원전 인근 주민들의 높은 갑상선암 발병률에 대해 “원전이 주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은 전혀 없었다”고 반박하기에 급급했다.
수명을 다해 가는 노후한 핵 발전 설비의 위험성이 주변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에 관한 균형 잡힌 연구 결과를 접하기도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본보는 위에서 언급된 원자력 생산과 그 규제에 관련된 기관들을 상대로 한 정보공개 청구 및 그에 따른 후속 보도에 들어갈 계획이다. 독자들과 함께 이번 정보공개와 심층보도로 은폐된 원전의 위험성과 원자력 시설에 종사하는 노동자들의 피폭 현황이 드러나길 기대해 본다.




저작권자 © 부안독립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