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배면적 911ha, 증가추세…농협은 무관심

정부 정책과 웰빙 풍조, 생태주의에 대한 관심 증가 등이 맞물리면서 전국적으로 친환경쌀 생산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부안의 경우 올해 재배면적이 대폭 증가하면서 전체 쌀 생산량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전국 평균(3~4%)을 훨씬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농산물품질관리원 자료에 따르면 현재 전체 쌀 재배 면적 15,049ha 중 친환경인증 면적은 911.2ha에 이른다. 한편 친환경쌀은 주로 친환경농을 목적으로 하는 몇몇 영농법인을 통해 유통되고 있으며 전체적으로는 공급이 수요를 따르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친환경쌀은 친환경농업육성법 개정에 따라 전환기 유기쌀이 올해 3월28일자로 유기쌀과 통합됨으로써 총 3가지(유기, 무농약, 저농약)의 인증 등급으로 나뉜다. 부안에서 가장 높은 재배율을 보이는 곳은 하서면으로 전체 840ha 중 300ha 정도가 친환경쌀을 재배하고 있다. 뒤이어 주산면과 백산면이 각각 100ha, 나머지 면들이 각각 10~20ha 수준이다. 부안 전체로 보면 생산량은 저농약 인증이 2,834톤(2007년 인증계획량) 가량으로 가장 많고 그 다음 무농약(1,423톤), 유기(215톤) 순이다.

부안의 친환경쌀은 하서의 ‘미래영농조합법인’, 주산의 ‘주산사랑영농조합법인’, 변산의 ‘산들바다공동체’ 등을 통해 생산, 판매되고 인터넷과 개인적인 연결망을 통한 소비자 직거래는 부안 전체로 보았을 때 30% 정도 차지한다. 이 중 정농회를 유통 경로로 삼고 있는 산들바다공동체와 극히 일부인 부안중앙농협 경우를 제하면 무농약쌀의 유통 업체는 미래영농조합과 주산사랑영농조합 두 군데다. 일반쌀과 달리 농협이 친환경쌀 유통에서 제외된 것은 조합장 선거에서 농민 표수를 고려할 수밖에 없는 것이 가장 큰 이유라는 분석이다.

하서면의 경우 총 1500톤 가량 생산하는데 각 재배면적은 유기 50ha, 무농약 150ha, 저농약 100ha 정도이며 12개의 작목반으로 조직되어 있다. 이 중 시장에서 상품가치가 떨어져 인증이 무의미한 저농약은 농협이나 RPC를 통해 일반미와 같이 유통되고 유기와 무농약은 ‘하서미래영농조합법인’으로 취합된다. 이는 하서에 있는 ‘우리농산물살리기공동네트워크’의 가공시설을 통해 가공된 후 한국생협연대(무농약만 30%)와 초록마을(유기농+무농약 70%)로 전량 납품된다. 이 제품들이 직거래(생협연대)나 온·오프라인 매장(초록마을)을 통해 최종적으로 소비자에게 전달된다.

이에 반해 주산면의 경우는 주로 대형마트를 대상으로 삼고 있다. ‘주산사랑영농조합법인’이 유통을 담당한다. 주산 영농조합의 경우 전부 무농약 인증만을 취급하는데 틈새시장을 겨냥해 80% 이상이 원료곡인 현미로 판매된다. 개별 판매에 어려움을 갖고 있는 농가로서는 안정적인 판로를 갖고 있는 영농법인을 이용하는 것이 유리할 수밖에 없다. 그러나 영농법인으로서는 수매자금이 부족하기 때문에 판매금 회수 방식에 동의하는 농가를 중심으로 유통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 지난 9일에 만난 주산사랑영농조합법인의 김상흠 씨는 불가피하게 타 지역의 쌀 수매를 통해 달리는 공급량을 메우기도 한다고 밝혔다.

전국적으로 친환경쌀 유통이 원활하지 않다는 지적과 관련해 김씨는 두 가지로 설명했다. 그는 “적체현상은 개별 판매에 해당된다. 높은 가격을 원하는 생산자가 쌀을 풀지 않기 때문이다. 또 다른 지역은 자금력있는 농협이나 법인이 총괄적으로 취합하지만 전북이나 부안은 그렇지 못하다”고 했다. 지난 10일 하서미래영농조합의 유재흠 씨도 비슷한 설명을 했다. 유씨는 “전국적으로 판로에 어려움이 있는 것은 사실이다. 아예 판매를 못하는 것은 아니다. 다만 판로 확정없이 생산만 하고 난 후 정상적인 판로를 찾다보니 지체되는 것이다”고 했다.

개별판매를 통한 직거래의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보다 안정적인 생산물 취합 시스템이 갖춰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이를 위해 생산 장려 정책으로 그친 정부가 농협과 함께 책임있는 유통, 판매 대책을 내놓아야 한다는 주장이 높다.
저작권자 © 부안독립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