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8일 오전 취재진은 신석정 시인의 묘지를 찾아 사무실을 나섰다. 그전에 행안면 역리 고성산에 있다는 기록을 읽은 뒤 석정선생의 제자 김형주 선생께 전화로 위치를 여쭸다. 김선생께서는 “농기센터 뒷산 동쪽 끝 봉우리 중턱에 있는데 찾기는 어렵지 않을 거야. 나도 쉽게 찾았는데 뭘. 길이 잘 나있어”라고 하셨다. 그래서 마음은 이미 다 찾은 것이나 진배 없었다.

차를 몰고 국도에서 농기센터쪽을 바라보니 작고 아담한 산이 보였다. 이제 다 왔구나 하며 산 아래 마을로 들어섰다. 마을에서 본 산은 해발 50미터도 채 안돼 보였다. 그리고 무작정 올라갔다. 쉬이 능선 길을 찾았다. 사실 여기까지도 그리 쉽지만은 않았다. 비와 태양이 주는 양분을 흠뻑 받은 나무와 풀들이 한껏 ‘잎빨’과 ‘풀빨’을 드러내며 길을 덮고 있던터라 길이라기보다는 길의 흔적을 더듬어 왔기 때문이다. 그래도 여기까진 괜찮았다.

이제부터가 문제였다. 길이 있다는 건 알겠지만 산위의 길은 더 많은 나무와 풀로 덮혀 있었다. 사람이 다녀간 흔적도 거의 없어 보였다. 그래도 말그대로 수풀을 헤치며 갔다. 조금만 가면 나오겠지 이깟 작은 산이 뭐 대수라고 하면서.

그러나 동쪽 능선으로 100미터 가량 향하던 취재진의 발걸음은 더 이상 계속될 수 없었다. 이젠 길의 흔적마저 찾기 어려웠기 때문이다. 이 길로 들어서다 돌아서고 저길로 들어서다 되돌리길 서너 차례. 결국 길을 잃은 것이다. 그깟 작은 산이라고 깔보던 곳에서 말이다.

그리고 포기했다. 다음 기회로 미루면서. 올라간 길을 다시 거꾸로 내려오는 하산 길에 석정의 꼬장꼬장한 이미지가 자꾸 떠올랐다. 한 말씀 하신다. “야 이 녀석아, 내가 너를 그리 쉽게 만나줄 줄 알았느냐!” 덧붙이신다. “아무리 낮게 보이는 산이라도 얕보지 마라!, 산은 산이다.”
저작권자 © 부안독립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