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치공작 혈안에 유사 정보기관화

지난해 7월 환영받지 못하는 ‘점령군’처럼 부안에 입성한 한수원. 그러나 한수원은 환영만 받지 못했을 뿐 점령군이 동원할 수 있는 모든 전략을 최대한 활용하려 했다는 평을 듣는다.
우선 한수원은 무엇보다 핵폐기장 유치 찬성여론을 조성하고 확대시키기 위해 엄청난 노력을 기울였다. 첫 발걸음은 김 군수의 유치신청 3개월여 전인 작년 4월말 위도에서 시작했다. 그로부터 3개월 후 산자부의 지원을 받고 ‘박아무개’를 중심으로 한 민간 홍보원의 구전활동에 힘입어 한수원은 ‘찬핵여론의 베이스캠프’를 위도에 구축하는 데 성공했다.
실현 가능성도 법적 규정조차도 없는 ‘수억대 개별 보상금 지원설’이 입에서 입으로 귀에서 귀를 통해 빠른 속도로 이 섬을 순식간에 초토화시켜 나갔다. 그리고 이후 벌어질 대부분 공작 수준의 ‘찬핵활동과 행사’에는 한수원이라는 이름이 뒤따라 다녔다.
공식 자료를 통해 확인된 바로도 이들이 주도하는 핵폐기장 유치활동의 성격은 쉽사리 파악될 수 있다. ‘부안군 소재 교회 홍보 대책회의’(2003.09.20), ‘부안군의회 동향파악’(09.27), 부안 주재 경찰병력 이동화장실 정화조 10개 제공(09.29), ‘촛불집회 상황파악’(11.17) 등은 일반 공기업의 차원을 넘어선 유사 정보기관과 같은 ‘한수원식’ 활동들이었다.
하지만 이같은 활동들과 함께 ‘대덕 견학’이 목적으로 했던 ‘유치찬성 여론확산’은 오히려 역효과만을 불러일으켰다. 2·14 주민투표가 그것을 입증했다. 이들이 맞은 반핵여론의 거센 역풍은 돈과 향응이 오가는 소위 ‘국책사업’ 여론작업의 한계와 문제점을 여실히 보여줬다. /서복원기자bwsuh@ibuan.com


저작권자 © 부안독립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