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르몬 보충하면 효과

갱년기라 함은 보통 여성에게만 해당되는 것으로 생각해왔다.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젠과 프로제스테론의 분비가 증가하면서 사춘기를 맞았고 그 호르몬의 분비가 감소하면서 폐경기를 맞는다. 폐경기를 맞으면서 생리 현상만 없어지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 다른 수반 증상들도 나타나는데 그 시기를 여성 갱년기라 말한다.

그런데 우리나라뿐 아니라 세계 여러 나라에서 노인 인구가 급증하면서 나이 든 남성에게서도 노화에 따른 내분비 변화가 일어나며 다양한 증상들이 동반되어 나타남에 관심을 갖기 시작한다. 이 증상들을 남성 갱년기 장애라고 부르기 시작하면서 여러 가지 연구들이 시행되었다.

현재는 ‘후기 발현 남성 성선기능저하증(late-onset hypogonadism, LOH)’라는 용어로 정의하며 혈청 테스토스테론 수준의 결핍과 다른 전형적인 증상들이 나타나면 진단내릴 수 있다.

남성 갱년기 장애가 나타나면 지금 현재로서는 사용되는 치료 방법이 남성 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을 이용한 호르몬 보충 요법이다. 물론 이 방법이 남성 갱년기 장애의 제반 증상들을 모두 완화시켜주진 않는다.

남성 호르몬 보충요법으로 기대되어지는 효과를 살펴보면, 첫째로 뼈에 대한 효과를 볼 수 있는데 연령 증가에 의한 혈중 테스토스테론의 감소에 의해서도 골밀도가 감소하는 것을 볼 수 있으며 특히 젊은 남성에서 저성선증에 의한 이차성 골다공증에는 토스테스테론의 보충요법으로 골다공증 치료를 하고 있다.

둘째로는 체지방과 근력에 대한 효과를 살펴보면 호르몬 보충 요법으로 체지방이 감소하고 제지방 체중이 증가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와 있다.

셋째로 성기능 및 기분에 대한 효과를 보면 의외로 테스토스테론은 정상적으로 기분 및 행복을 개선시키는 효과는 입증되었으나 성기능을 직접적으로 향상시킨다는 보고는 없는 실정이다. 심리적 효과로 인한 성기능 감소의 경우에는 효과가 있을 거라 기대된다.

그리고 우리가 알아야 할 남성 호르몬 보충요법의 부작용을 보면 첫째로 의심되는 것이 전립선 비대증인데 의외로 직접적인 증거는 없다. 둘째로 전립선암의 경우인데 전립선암이 의심되는 경우에는 절대 금기이다. 셋째로 수면중 무호흡증이 있는 경우에도 금기이다.

현재 남성 갱년기 증상에 테스토스테론을 사용하여 어느 정도 효과를 보는 것은 사실이나 향후 지속적인 연구가 있어야 될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므로 호르몬 보충 요법 한가지로 치료하는 것은 불충분한 치료라 볼 수 있고 식이요법과 운동 요법, 행동요법 등 다양한 치료에 대해서도 함께 시도돼야 할 것으로 본다.

저작권자 © 부안독립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