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의 무공천이냐 공천이냐의 문제가 결국 ‘공천’으로 결정되었다.
소란스런 일련의 과정을 지켜보면서 부안군 선거에 대하여 많은 생각을 하게 된다. 얼마 전에 부안독립신문에서 실시한 설문조사의 결과를 보면 신당이라는 중앙에서의 정치 변수가 부안에서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하지만 막상 신당이 창당되고 다시 새정치민주연합이라는 정당으로 합당하는 과정을 겪으면서 부안의 선거 구도는 크게 영향 받고 있다.
얼마 전 안철수신당이 가시화되자, 부안에서는 군수 입지자들 중 여러명이 창당발기인이 되기 위하여 애쓰는 모습을 보였다. 이것의 정치적인 의미는 부안에서 ‘민주당 독재’에 대한 불만이 켜켜이 쌓이고 있다는 것이다. 대한민국의 정치 지형상 민주당을 지지하는 경향이 강하지만, 그것은 민주당이 잘해서가 아니라 적절한 대안이 없어서일 뿐이라는 것이다. 그래서 안철수신당이라는 대안이 가시화되자 많은 민심이 그 쪽으로 쏠렸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안철수신당의 행보가 미덥지 않았다. 대안으로서 신선한 모습을 좀처럼 찾아보기 어려웠다. 민심은 ‘민주당 독재는 싫어’와 ‘미워도 다시 한번’이라는 양갈래 길에서 서성였다. 당연히 후보들의 행보는 엉거주춤 할 수밖에 없었다.
그러다가 갑자기 합당이라는 소식이 들려왔다. 합당 자체는 약한 두 야당이 힘을 합쳐 힘센 여당을 상대하기 위하여 환영할 만한 것이었다. 그러나 특이하게도 김한길 안철수 공동대표는 ‘무공천’이라는 문제가 마치 박근혜 정부의 가장 치명적인 약점이라도 되는 것처럼 그 문제에 집중하였다. 무공천은 후보자들로 하여금 너도나도 새정치국민연합에 몰려오게 하는 효과를 발휘했다. 왜냐하면 나중에 무소속으로 나올 때 새정치국민연합 소속였다는 것을 경력으로는 넣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부안의 선거 구도에 특이한 결과가 벌어졌다. 대안을 모색하던 세력이 거의 모두 다시 한 틀 안으로 모인 것이다. 특히 이 과정에서 영원한 아웃사이더처럼 보였던 김종규 전군수마저 같은 틀에 모이게 되었다. 부안 군민 중 일부는 지금도 ‘핵폐기장 반대 투쟁’의 군민의지를 지켜내기 위하여 반김종규 후보 단일화 운동까지 하고 있는데, 정치판이 요동치더니 한 울타리 속에 거의 모든 후보들이 들어와 앉아버린 것이다.
이것을 어떻게 볼 것인가? 우선 부안에서 새정치민주연합은 정치적으로 거의 독재를 하게 되었다는 점이 부각된다. 잠깐의 신당 바람으로 그 틈이 보였으나, 그 마저 흡수해 버려서 부안에는 정치 활동이 새정치민주연합 내부 활동이 되어 버렸다. 중국의 정치는 인민이 하는 것이 아니라 중국 공산당이 한다고 볼 수 있는데, 부안에서의 정치는 부안 군민이 하는 것이 아니라, 부안의 새정치민주연합이 하고 있다고 봐도 무방하게 되어 버렸다. 이제 새정치민주연합에 속하지 않은 군민은 그저 구경만 하는 신세가 되어버렸다. 다시 눈이 새정치민주연합에서 어떤 과정을 거쳐 공천하는지에 쏠릴 수밖에 없는 이유다.
이런 과정에서 일부 후보들의 본질이 드러난다. 일부 후보들은 오직 ‘당선’만을 생각하는 것 같다. 자신의 명확한 주장을 내세우면서 아름답게 패배하려는 자세보다는 어떻게든 승리하고자 여기저기 ‘선(線)’만 대느라 우와좌왕 하고 있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다. 이런 후보들은 지금의 상황이 상당히 곤혹스러울 것이다. 무소속으로서의 한계를 절감하고 정당에 들어갔더니, 정당 내부 경선이 더 까다로운 상황이 되어 버렸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다시 탈당하자니 군민들의 눈빛이 결코 곱지만은 않을 것 같고. 진퇴양난이다.
지난 부안독립신문 설문조사 결과에서 드러났듯이 군민들은 정책선거가 되길 원한다. 하지만 부안에서는 일당독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리고 후보들은 군민들을 위한 정책을 입안하는데 매진하기보다, 당선 가능한 시나리오를 짜기 위하여 잔머리를 굴리고 있다. 이런 환경에서 정책선거는 불가능하다. 군민은 텔레비전에서 축구경기 관람하듯이 정치판 굴러가는 것을 ‘구경’할 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길을 모색하는 사람들이 있다면, 두 가지만 언급하고 넘어가고자 한다.
첫째는 지역 선거도 명확하게 정당의 형태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이다. 쓸데없어 보이던 무공천 논란을 통해서 명확하게 배운 점이다. 정책이라는 것이 단순히 군민들의 민원 들어주는 것이 아니라면, 이념과 사상에 근거하여야 한다는 것이 명확해졌다. 따라서 지금 새로운 대안을 마련하려는 사람들은 정당활동을 시작해야 한다. 새정치민주연합에 들어가서 개혁을 하든, 아니면 정의당 진보당 녹색당 노동당 등 기존의 진보정당에 들어가서 세력화를 꾀하든, 아니면 부안 지역을 기반으로 하는 지역 정당을 만들든, 그 활동은 정치적인 활동이 되어야 하고, 정당의 형태로 이루어져야 정책 선거가 가능하다는 점이 명확해졌다. 
둘째는 비록 정당 활동을 바로 시작하지 못한다 하더라도 대안 세력은 자신들의 정체성을 ‘공공적 활동’을 통해서 드러내고 실력을 인정받아야 한다. 지금까지 후보들의 행태를 보면 선거 전에는 무엇을 하는지 도무지 알 수 없다가 선거철만 되면 느닷없이 나타나곤 한다. 이런 일이 없어지려면 후보자들은 평소에 공적인 입장에서 지역의 현안 문제에 대하여 개입하고 의견을 표출해야 한다. 공공의 이익을 위해서 시위하고 집회하고 고발하고 언론에 투고하는 활동을 해야 한다. 그렇게 주민들의 이해를 대변하는 활동을 통해서 ‘공공적인 활동 능력’을 검증받아야, 정책 선거로 갈 수 있는 기틀이 마련될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부안독립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