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교육비를 절감하고 도시와 농촌의 교육격차를 해소하기위해 추진되고 있는 방과후 학교교육이 보완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방과후 학교정책은 지난 1995년 5.31교육개혁과제의 하나로 선정되어 이듬해인 1996년 방과후교육 활성화방안을 거쳐 2006년부터 방과후학교로 통합하여 전면시행중에 있다.
초등학교의 경우 예체능을 중심으로 특기 및 적성교육이 주를 이루고 있고, 중고등학교는 특기적성에 교과교육이 일부 포함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방과후 학교에서 학생들은 자신들이 좋아하는 악기를 연주하고 평소 관심이 있는 구기종목을 배우며 자신의 소질을 발견하고 계발하는 효과를 얻고 있다.
독서와 논술 등 문학적 창의성을 키우고 창의수학을 배우는 것도 방과후 학교과정에 들어 있다.
이와 같은 방과후학교는 무엇보다 기존의 정규교과교사가 아닌, 전문성을 확보한 교사들이 참여하여 학생들의 소질을 발견하고 이들 순회교사들에게 일자리의 기회를 제공한다는 의미도 함께 갖는다.
부안군의 경우도 관내 42개 초중고가 대부분 방과후학교를 진행하고 있지만, 얼마전 전북도교육청이 편성한 관련예산이 도의회 교육의원들에 의해서 상당액 삭감됐다.
한시적인 방과후 코디네이터사업이 올 해에도 운영비성격으로 지급이 약속된 부분이었는데, 사업이 종료되면서 순회강사 몫인 지역특색방과후 교육지원비도 전년보다 3천만원 줄어들었다.
당초 방과후 학교에게 기대할 수 있는 교육효과가 그대로 사라지는 순간이었다.
도의회 교육의원들의 예산삭감과 함께 문제가 되는 것은 정규교사들의 근무시간 연장이라는 부작용이다.
부안의 경우 초등학교 7개교가 방과후학교의 하나인 ‘엄마품 온종일돌봄이’ 교실을 운영하고 있는데, 정규교사들이 보조교사들과 함께 밤 9시~10시까지 근무하는 경우가 허다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정규직 교사들의 불만을 사고 있다.
이들 교사들은 토요일 방과후학교교육에도 참여해 주말휴식시간을 빼앗기는 희생(?)을 강요받기도 한다.
또 다른 문제점은 지방자치단체 및 지역사회와의 연계가 불확실하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보건복지부예산으로 운영되고 있는 지역아동센터 이용률을 실질적으로 높이는 방안을 모색하는 작업이 필요한데, 이를 위해서는 해당지자체가 학교 및 관련 사회단체와 함께 학생들이 이곳을 이용하는데 불편이 없도록 적극적인 지원을 마련해야 한다.
이와 함께 방과후학교의 문제점을 진단하여 방과후학교 본래의 목적과 취지를 살릴 수 있는 대안을 이끌어 내는 지역사회의 토론회를 개최하는 것도 시급한 일이다.



 

저작권자 © 부안독립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