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바이오 디젤유 확대계획 .. 국산 원료 전무

충청북도 청원군은 유채 덕을 톡톡히 보고 있다. 처음에는 과학단지와 친환경 쌀을 알리자는 목적으로 심은 유채가 의외의 수입원으로 자리를 잡았기 때문이다. 아예 지역의 대표 축제를 갈아 치웠을 정도다.

올해 겨우 2회째인 축제에 110만명이 다녀갔다. 지난해보다 25만명이 더 왔다. 청원군이 추산한 바에 따르면 경제적 파급효과는 520억원에 달한다. 청원군 담당 공무원은 “제주도에서 벤치마킹을 하려고 찾아올 정도로 대박이 났다”고 자랑한다. 이번 축제에 청원군이 사용한 돈은 유채파종과 관리에 들어간 7천만원이 전부라니 자랑은 빈말이 아니다. 25만평의 유채 밭에서 수확한 씨로 내년에는 면적을 30만평으로 늘릴 계획도 잡아 놨다.

유채꽃 축제 붐...경작지 확산

유채꽃 축제가 붐을 이루고 있다. 더 이상 유채꽃은 제주도만의 전유물이 아니다. 꽃이 오랜 기간 동안 피어 있고 화려해 경관작물로 지자체들이 앞다퉈 심고 있기 때문이다. 청원군의 예처럼 단일한 축제가 아니더라도 지역 관광지와 연계하면 쏠쏠한 볼거리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게다가 최근에는 경관보전직불금을 지급하는 작물 가운데 하나로 유채가 선정돼 일반 농가들의 호응도 뜨거운 것으로 나타났다. 농림부가 경관직불금 신청을 지난달 말 마감한 결과 2005년 목표치인 470ha를 크게 넘어섰다.

부안군은 지난달 15일 신청을 마감했고 신청자는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하지만 부안의 일부 친환경농업단지에서 대규모로 유채를 심겠다는 의사를 밝혀 왔던 것을 감안하면 의사소통이 제대로 되지 않은 것 아니냐는 아쉬움을 주고 있다.

특히 이번 경관보전직불금이 정부의 ‘바이오디젤 시범보급사업’과 연계해 추진되고 있어 안타까움이 더하다. 현재 친환경단지에서 유채를 심으려고 하는 이유가 바로 바이오디젤 원료유를 공급하겠다는 농민들의 의지로부터 시작됐기 때문이다.

관상용에서 산업용으로

정부도 최근 온실가스 감축을 의무화한 교토협약 발효 등으로 바이오 산업을 집중 육성하려는 의지를 보이고 있다. 당장 올해 10월에 결과를 도출한다는 목표로 ‘바이오디젤용 작물 경제성 분석’을 연구용역회사를 선정해서 실시하고 있다. 농작물을 활용해 바이오에너지를 생산하는 것이 경제성이 있는가를 집중 연구할 계획이다.

또 동시에 유채를 핵심전략기술 과제로 선정해서 품종 개발과 기계화, 우리나라 경작규모에 맞는 파종기술 마련 등을 연구하고 있다. 사실상 올해 안에 바이오디젤 산업용으로 유채가 자리매김 하느냐 마느냐 하는 윤곽이 잡힐 것으로 보인다.

그래도 여전히 장기적인 전망은 좋다. 국제 원료유가 워낙 등락이 심해 바이오디젤 업체들이 안정적인 공급처를 절실하게 찾고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정부 역시 바이오디젤을 100만톤까지 확대하겠다고 밝히고 있다. 이 경우 현재 개발된 품종이나 기술을 모두 동원해 최대한 유채기름을 뽑아낸다고 가정해도 62만5천ha에 유채를 심어야 한다. 참고로 지난해 현재 우리나라의 논 면적은 112만7천ha이고 벼 재배 면적은 100만ha를 가까스로 넘었다. 사실상 이 수요를 다 채우는 것 자체가 어렵다는 얘기다.

또 지난해 현재 국내에서 생산된 바이오디젤 10만여톤도 국내산 원료유는 거의 전무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무런 기반이 없다는 것이고 누구나 처음이라는 얘기다. 2007년에 경유값이 휘발유의 85% 수준으로 오르고 우리나가가 교토협약 이행의무국이 될 경우 산업용 유채 생산은 농민들의 중요한 소득원이 될 가능성이 높다.
지금 심어도 될까

하지만 단기적으로 보면 마땅한 유인이 없는 게 사실이다. 사실 돈이 안되는 것이 가장 큰 걸림돌이다. 현재 벼와 이모작을 하고 있는 품종은 감자와 보리, 호밀 등이다. 이 가운데 대표적인 그루갈이 작물로 꼽히는 보리를 기준으로 보면 유채를 심어 버는 돈은 그다지 매력적이지 않다. 아예 시장이 형성돼 있지 않아 행정관청에서조차 통계를 찾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지난 2003년 기준으로 보리의 판매대금은 10a당 36만3천원가량이다. 이중 농업경영비, 인건비 등을 제외한 소득은 20만8천477원이다. 현재 유채 계약재배를 원하는 기업의 경우 대개 국제가격을 기준으로 잡고 있다. 하지만 국제가격은 1kg에 270원에서 420원까지 변동한다. 등락폭이 심하지만 평균 350원 정도로 잡을 수 있다. 최대 10a에서 400kg을 수확한다고 해도 10a에서 나오는 소득은 14만원에 불과하다.

그래도 여기에 경관보전직불금을 받을 경우 얘기는 달라진다. 대상 농지로 선정될 경우 10a당 17만원을 지원받기 때문이다. 문제는 신청이 끝났기 때문에 당장 유채를 파종하려는 농가에게는 부담일 수밖에 없다. 제주도나 청원군처럼 경관을 이용한 관광지로 가꾸는 대신 지자체가 농민에게 지원을 한다면 문제는 오히려 쉽게 풀릴 수 있다.

발전가능성 높아

화장품 원료를 생산하는 KCI 윤영호 사장은 “유채유는 재배만 하면 사용량은 무한대”라며 “앞으로 쌀농사를 짓기 어렵다면 유채를 대규모로 심을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그는 “외국산 원료유는 등락폭이 너무 크다”며 “농민들이 안정적인 가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정부에서 지원해야 업체도 살 수 있다”고 주장했다.

거기에 환경부담금을 지원해 줄 가능성도 있다. 지난해 산자부에서 만든 ‘바이오디젤유 품질기준(안) 구축’ 최종보고서에 따르면 바이오디젤유 보급 활성화 방안으로 유휴농지 활용과 이산화탄소 배출권 이익을 되돌려 주는 방안을 고려해야 한다고 건의했다.

보고서는 “에너지수급용 식물의 인위적인 재배는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패널(IPCC)’의 이산화탄소의 삭감부분에 해당한다”며 “ha당 연간 7톤의 이산화탄소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그 거래가격인 24만8천원을 농민에게 재분배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여타 공익적 측면도 두루 포함돼 바이오디젤용 유채 재배에 힘을 실어주고 있다. 농림부 농업기술지원과 김종구 사무관은 “국내 유채가 수입 원료유보다 경쟁력을 가지지는 못하지만 교토의정서에 따른 환경부담금과 국내에서 생산했을 때 석유 수입 대체효과, 유채박(유채기름을 짠 뒤 남은 찌꺼기)을 이용한 사료 수입 대체효과, 경기부양 효과가 종합적으로 고려돼야 한다”고 설명했다.

한계희 기자 ghhan@
저작권자 © 부안독립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