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경기침체가 심각한 수준에 이르렀다.
특히 부안읍의 경우가 더욱 그렇다.
최근 몇몇 편의점과 프랜차이즈 커피숍, 의류업체들이 증가하고 있지만 오히려 자영업자가 차지하는 비중이 늘어나면서 경기침체를 더욱 부채질하는 분위기다.
한 지역의 경제지표는 생산과 소비의 규모와 이를 기반으로 한 주민들의 실질소득으로 평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생산력을 바탕으로 한 생산력과 구매력에 따른 소비지출의 규모가 적정한 수준을 유지할 때 지역경기가 유지되고 또한 활로를 모색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생산력의 증가는 생산의 주체인 기업의 역량에 비례하고, 소비 역시 핵심주체인 가계의 소비능력과 깊은 상관관계를 갖는다.
부안의 경기가 심각한 원인은 이와 같은 생산주체와 소비능력을 갖춘 가계들의 수가 점점 줄어들고 있다는 점에서 찾을 수 있다.
특히 부안의 산업구조가 수십년동안 농업을 중심으로 편성되면서 산업구조의 다양성을 확보하지 못한 것이 부안읍 경기의 침체로 이어지고 있다.
더구나 몇 년전까지만 해도 지역경제의 버팀목 역할을 맡았던 수산업이 새만금사업으로 쇠락의 길을 걸으면서 1천억원이 넘는 지역의 순환경제가 하루아침에 사라지고 말았다.
하지만 이 시점에서 더욱 중요한 것은 부안의 경기가 앞으로 회복될 가능성이 매우 불투명하다는 점이다.
혹자는 국책사업인 새만금사업의 내부개발이 제대로 이루어지면 지역경제가 쉽게 탈바꿈될 것이라는 낙관적인 전망을 내놓기도 하겠지만, 관련예산확보 등 지금까지 정부와 정치권이 보여준 새만금사업의 추진력과 의지를 감안할 때 그것 또한 믿기 어려운 현실이다.
그렇다면 부안의 경제가 활력을 찾고 경기를 회복시키기 위해서는 어떤 대안과 방법이 필요한 것일까.
우선 단기적인 처방으로 인구가 더 이상 줄어들지 않도록 모든 행정력을 집중해야 한다.
특히 안정적인 소비층인 공무원들의 관외거주를 우선적으로 금지시키고 지역주민들과 고통을 분담하도록 만들어야 한다.
다음으로는 부안이 갖고 있는 관광 및 문화자원을 최대한 상품화하는 작업이 시급하다.
산과 들, 바다가 어우러져 먹거리가 풍부하고 문화수준이 뛰어나 ‘생거부안’이었다는 말은 삼척동자도 다 아는 사실이지만, 이를 상품화하는 작업이 너무 뒤처져있다.
‘없는 것도 만들어 낸다’는 말처럼 작은 문화적 요소만 있어도 이를 극대화하는 다른 지자체의 사례를 본받을 필요가 있다.
장기적인 방법으로는 농업의 전문성과 기업의 유치를 들 수 있다.
특히 협동조합인 농협의 역할과 농업인들의 역량강화를 위한 대책이 하루 빨리 강구돼야한다.
기업유치는 부안이 갖고 있는 주변환경과 맞물려 지역과 함께 성장할 수 있는 기업들이 부안에 투자할 수 있도록 기반을 조성해줘야 한다.
여기에는 과감한 행정지원이 뒤따라야 함은 두말할 필요가 없다.
 

저작권자 © 부안독립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