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국에서

사회적 약자에 대한 배려와 나눔을 실천하는 사회적 기업에 대한 관심이 높은 가운데 부안군의 사회적 기업 현황이 다른 지역에 비해 열세인 것으로 나타나 대책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흔히 사회적 기업은 인증형 사회적 기업과 그 전 단계인 예비적 사회적 기업으로 나눌 수 있는데, 부안군의 경우 부안낭주회 한 곳만이 지난 2008년 인증형 사회적 기업으로 선정된 바 있다.

국내에서는 지난 1997년 IMF 환란으로 국민기초생활보장법을 시행, 부양의무자가 없거나, 있더라도 부양능력이 역시 없거나 또는 부양을 받을 수 없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소득인정액이 최저생계비 이하인 국민들에게 기본적인 최저생활을 국가가 보장하고 자활을 돕기 위한 제도가 사회적 기업 육성목적이다.

이러한 사회적 기업은 전북도내에 72곳이 선정돼 있지만 부안군은 지금까지  단 한곳에 불과한 것이 문제점으로 꼽히고 있다.

인근 시군과 비교해볼 때 부안군의 사회적 기업 육성의지가 매우 미약함을 알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사회적 기업의 도내 현황을 보면 부안군 보다 군세가 열악한 인근 순창군과 진안군이 5개, 무주군이 3개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 김제시와 임실군은 2개, 완주군은 3개로 현황이 잡혀 있다.

부안군은 장수군과 고창군, 정읍시와 함께 사회적 기업수가 도내 최하위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만큼 취약계층 등 사회적 약자에 대한 정책적 배려가 없음을 엿볼 수 있게 한다.

그러나 이러한 사회적 기업의 문제는 비단 정부와 부안군만을 탓할 일은 아니다.

정책추진에 문제가 있긴 하지만, 이에 앞서 사회적 기업의 인증절차와 선정기준이 그 만큼 까다롭다는 점을 먼저 이해할 필요가 있다.

다시 말해 사회적 기업을 제대로 일구기 위한 기업측의 철저한 사전 준비작업이 필요하다는 얘기다.

이는 곧 누구나 인증만 받아 정부지원에 의존하려는 인식에서 벗어날 필요가 있다는 뜻으로 해석할 수도 있다.

지역주민들도 사회적 기업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 장애인과 저소득층에게 일자리를 마련해주고 정부의 지원까지 받아낸다면 복지확대와 일자리 창출, 지역경제 활성화라는 일석삼조의 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부안군에 사회적 기업이 많아진다는 것은 자본주의의 폭력적인 얼굴에 가려있는 배려와 사랑의 속살이 더욱 잘 드러내는 것과 같다.

이윤의 극대화만을 추구하는 이 세상을 향해 아름다운 반란을 모색하는 사회적 기업을 많이 만날 수 있다는 희망을 함께 만들어 보자.

저작권자 © 부안독립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